Info :: 유용한 정보 (14) 썸네일형 리스트형 자꾸 비밀번호를 까먹으시나요? - Password Safe 요즘 정말 많은 사이트를 둘러보며 이리저리 회원가입을 하고있습니다. 그렇다보니 가끔은 사이트에 설정해놓은 비밀번호도 쉬이 까먹곤 합니다. 게다가 요즘은 유명한 사이트마다 비밀번호 책정 기준이 조금씩 달라서 (어떤 곳은 비밀번호 6글자 이상, 다른 곳은 8글자 이상.. 어떤 곳은 영어+숫자 혼합 필수 등) 서로 다르게 설정해놓다 보니 오랜만에 다른 사이트에 로그인하려면 비밀번호 찾으려고 고생 좀 하곤 합니다. 이 유틸은 웹페이지 뿐만이 아니라각종 게임의 비밀번호나 잘 쓰지않는 윈도우 계정의 비밀번호를 저장하시는데도 더없이 좋습니다. 패스워드 세이프 v.1.11 은 비밀번호 단기기억 상실증에 시달리는 여러분의 고민을 해결해드릴 겁니다. 분류별로 패스워드를 적어서 보관할 수 있어서 더 효율적이지않은가 싶네요... 메모리 최적화 유틸리티 - Cleanmem 요즘은 RAM 메모리가 참 커졌죠. 제가 일전에 쓰던 컴퓨터는 (몇 년전 이야기지만) 렘 메모리가 64MB 였습니다. 메모리 = 성능에 비례한다는 착각에 빠져서 이리저리 메모리를 구해서 128MB 짜리를 하나 더 끼우곤 했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참 부질없는 짓이였죠. 컴퓨터의 성능을 좌우하는 건 CPU와 그래픽카드 정도이고, (HDD냐 SSD냐에 따라서도 큰 차이가 있죠) 메모리는 컴퓨터의 작업역량을 늘려주는 거였단 걸 그때는 몰랐습니다. 그렇다면 "컴퓨터 성능에 관계없는 메모리 최적화는 왜 하나요?" 하고 물어보시는 분들이 계실겁니다. 요즘은 인터넷 익스플로러나 기타 웹브라우저, 포토샵, 게임같이 리소스(컴퓨터 자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를 많이 잡아먹는 프로그램이 이리저리 허다합니다. 더 고급적이고 다양.. 주소창에는 왜 http 가 붙나요? 이것을 HyperText 등으로 말을 하는데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http라는 프로토콜입니다. HTTP : HyperText Transfer Protocol 번역을 하면 '하이퍼텍스트 교환을 위한 프로토콜' 입니다. 프로토콜은 우리가 통신을 이용하기 위하여 미리정한 규약으로 마치 우리가 한국어를 쓸때, '나는 한국어를 쓰겠다' 라고 정했기 때문에 우리나라 어디에서든, 한국어를 쓸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웹에서도 일정하게 정한 무엇인가가 필요한데 이것이 프로토콜입니다. HyperText를 사용하기 위해, 그것이 가능한 언어의 약속을 정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제는 http를 왜 쓰는지는 알게 되셨다고 생각하는데, 왜 생략이 가능한가. 물론 http 말고도 ftp 라던지 gopher 라든지 하는 .. 왜! 모든 컴퓨터의 기본디스크는 C: 인가요? A: 나 B: 같은 것들 나두고 왜 C: 일까요? 정답은 아래와 같습니다. 80년대 초반 하드디스크가 보급되기 전까지는 플로피 디스크(흔히 디스켓이라 부르죠)를 사용했고, 컴퓨터 설계시에 플로피는 2개를 장착할수 있도록 했습니다. 그 두개에 A,B를 할당해 주었습니다. 이후에 하드 디스크가 생기면서 자연스럽게 C를 할당하게 된거지요. 내 영어 이름을 알려줘! 네이버랩 언어 변환기 http://s.lab.naver.com/translation/?query=%EC%95%88%EC%A2%85%EC%84%B1&where=name 네이버에서 만든 언어 변환기 기능 중 자신의 한글 이름을 영어 이름으로 변환해주는 기능입니다. 혹 자신의 영어 이름을 모르시는 분들이 있다면 이용해보시는 것도 괜찮을 듯 합니다. 이미지에서 문자인식하기 (OCR) http://t.lab.naver.com/ocr/ 이미지로부터 문자를 인식하는 프로그램들은 다양합니다. 문제는 프로그램들마다 인식률이 다르고, 언어에 따른 성능차이를 보여준다는 점이지요. 네이버 문자 인식 OCR은 웹서비스로 운영된다는 점에서 특이하고, 한글에도 강점을 지닐 것으로 추측되니 이용해보시면 꽤나 편리할듯 합니다. OCR 프로그램을 돈주고 살 필요가 없는 것도 하나의 장점이라면 장점일 것입니다. 이전 1 2 다음